
왜 ‘파트너십 기반 콘텐츠 전략’이 필요한가?
중남미 시장은 이제 단순한 수출 대상이 아니다. 멕시코, 브라질, 콜롬비아, 칠레 등은 한류 수요와 온라인 패션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성장 시장이다. 하지만 단순히 광고만 집행하거나 쇼핑몰을 열었다고 해서 브랜드가 자리 잡기는 어렵다. 현지 소비자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뢰를 주는 콘텐츠'와 '현지인의 감성 언어'가 필요하며, 그 중심에는 로컬 인플루언서와의 파트너십이 있다. K-패션 브랜드는 이제 인플루언서를 ‘홍보 대상’이 아니라, 브랜드를 함께 만드는 크리에이티브 파트너로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기획된 협업을 통해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
중남미 협업 기획안 PPT: 브랜드 × 현지 인플루언서 모델
목적: 인플루언서/파트너사에게 제안하거나, 내부 마케팅팀이 실행 계획 수립 시 사용할 수 있는 실무형 기획안
PPT 구성안 (슬라이드 10~12p 기준)
1. 브랜드 소개 | 브랜드 철학, 타깃 고객, 글로벌 비전 |
2. 협업 목적 | 왜 중남미인지, 왜 인플루언서와 함께하는지 |
3. 캠페인 콘셉트 | 예: “일주일 K-패션 챌린지”, “한류 따라잡기 룩북” |
4. 콘텐츠 유형 | 릴스, 틱톡, 언박싱, 스타일링 튜토리얼, 피드 등 |
5. 기대 효과 | 브랜드 인지도 증가, 전환율, 트래픽, 후속 파급 효과 |
6. 파트너 역할 | 콘텐츠 제작, 팬 커뮤니티 공유, 후기 생성 등 |
7. 브랜드 지원 | 제품 무상 제공, 수익 쉐어, 공동 이벤트, SNS 피처링 |
8. 일정 플랜 | 1~3주 단위 협업 실행 캘린더 |
9. 성과 측정 기준 | 조회수, CTR, 링크 클릭, 유입 분석 방식 |
10. 연락처 및 콜투액션 | 브랜드 담당자 연락처, 카카오톡/와츠앱 QR 등 |
파일 활용 팁
- PDF 버전 + PPT 원본 동시에 제공
- 현지 언어 번역본(스페인어/포르투갈어)도 함께 준비하면 반응률↑
중남미 인플루언서 섭외용 브랜드 소개서 (1장 제안서 포맷)
목적: 이메일, DM, WhatsApp으로 보낼 수 있는 짧고 강력한 제안서
포맷 예시 (A4 1장)
🎀 Hola [이름],
Te saludamos desde [브랜드명], una marca de moda coreana que combina estilo moderno con el toque K-fashion.
Estamos buscando colaboraciones con creadores latinos auténticos que compartan nuestra pasión por la moda y el estilo.
👉 ¿Qué proponemos?
- Envío de ropa sin costo
- Publicación de tu contenido en nuestras redes oficiales (90k+)
- Cupón exclusivo para tus seguidores
- Posibilidad de trabajar en campañas pagadas a futuro
Queremos mostrar cómo se ve la moda coreana en el mundo latino, ¡y tú puedes ser parte de eso!
Si te interesa, aquí te dejamos un documento con detalles 👉 [PPT 링크 or 드라이브 링크]
¡Gracias por tu estilo y energía!
— Equipo de [브랜드명]
템플릿 활용법
- 메일/DM 첫 메시지로 사용 후, 전체 PPT/자료 링크 전달
- 이름/팔로워 수/최근 게시물에 맞춘 커스터마이징 필수
콘텐츠 협업 비용표 + 성과 예측 시트 샘플
목적: 예산 편성 + 효과 예측 + ROI 분석을 위한 실무 템플릿
항목별 구성 (스프레드시트 형식)
제품 지원 | 의류 제공 | $40 | 10벌 | $400 |
인플루언서 콘텐츠 | 릴스 영상 제작 | $150 | 3명 | $450 |
콘텐츠 재사용료 | 브랜드 공식 피드 사용 | $50 | 3건 | $150 |
이벤트 경품 | 팔로워 대상 추첨 | $100 | 1회 | $100 |
총예산 | $1,100 |
성과 예측 시트 (기본 항목)
콘텐츠 총 조회수 | 200,000뷰 | 릴스 + 피드 합산 |
클릭률(CTR) | 4.2% | 링크 삽입 콘텐츠 기준 |
전환율 | 2.5% | 링크 유입 → 실제 구매 기준 |
예상 판매 | 약 210건 | 평균 단가 $35 기준 |
예상 수익 | $7,350 | 실수익률 50% 가정 시 순이익 $3,675 |
파일 활용 팁
-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템플릿 제공
- 예상값 수정 가능 (구매율, 단가 등)
- 실제 캠페인 종료 후 '예측 vs 실적 비교'로도 활용 가능
일회성 협업이 아닌 팬덤 기반 구조 만들기
이 모든 작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노출이 아니라 브랜드 팬을 만드는 것이다. 인플루언서 한 명 한 명을 진정한 파트너로 대하고, 콘텐츠 하나 하나에 브랜드 철학을 담는다면 그 결과는 단순한 클릭이나 팔로워 수 이상의 가치를 만들어낸다.
중남미는 감성의 시장이다. 제품이 아니라 감정을 팔아야 한다.
브랜드가 현지에서 꾸준히 회자되고 소비자에게 신뢰를 얻는다면, 그 시장은 단기 캠페인이 아니라 브랜드가 성장하는 기반 플랫폼이 되어줄 것이다.
'K패션 글로벌 진출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패션의 라틴아메리카 디자인 진출을 위한 실전 툴킷 (0) | 2025.04.16 |
---|---|
K-패션과 라틴 감성의 융합: 디자인 로컬라이징 사례와 적용법 (0) | 2025.04.16 |
중남미 K-패션 팝업스토어 실전 실행 패키지: 도시별 입점 체크리스트, 이벤트 운영 플래너, 공간 구성 샘플 (0) | 2025.04.16 |
중남미 주요 도시에 맞춘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운영 전략과 사례 분석 (0) | 2025.04.15 |
K패션 셀러의 중남미 패션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성공사례 (0) | 2025.04.15 |
K-패션 브랜드가 알아야 할 중남미 현지 모델·인플루언서 섭외 가이드 (0) | 2025.04.14 |
중남미 진출을 위한 K-패션 브랜드 로컬 파트너십 구축 전략 (0) | 2025.04.14 |
K-패션을 활용한 크로스보더 브랜드 만들기 (중남미 첫 타겟)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