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진출을 위한 K-패션 브랜드 로컬 파트너십 구축 전략
로컬 파트너십의 중요성: 수출에서 브랜딩으로 전환하는 열쇠K-패션 브랜드가 중남미 시장에 진출할 때 단순히 제품을 수출하거나 해외 소비자에게 온라인 광고를 집행하는 것만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중남미는 문화, 언어, 소비 방식, 유통 인프라가 한국과 매우 다르고, 전자상거래 생태계 또한 국가별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초기부터 현지 사정을 잘 아는 파트너와의 협업 없이는 브랜딩과 운영에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로컬 파트너십은 단순한 중개 유통이 아니라 브랜드가 해당 지역 소비자와 정서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필수 전략이며, 물류, 마케팅, CS, 이벤트, 법률 등 다방면의 리스크를 줄이는 실질적인 시스템이다. 단기간 수익만 목표로 한다면 로컬 파트너는 필요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장기..
2025. 4. 14.
K-패션 수출 초보자가 피해야 할 실수 7가지
시장조사 없이 ‘감’으로 수출 결정하기K-패션을 해외에 수출하려는 많은 브랜드들이 범하는 첫 번째 실수는, 명확한 시장 조사 없이 단순히 "한류 인기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수출을 결정하는 것이다. 특히 중남미 시장은 문화, 체형, 기후, 경제력, 유통 구조가 한국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제품의 수요 유무는 단지 스타일의 유행으로만 판단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인기 있는 롱코트나 무채색 오피스룩은 브라질 북부나 멕시코 내륙의 1년 내내 더운 지역에서는 수요가 거의 없으며, 실용성 측면에서도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 시장조사를 생략하면 인기 없는 상품 재고가 누적되고, 물류비와 마케팅 비용만 손해보는 구조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국가별 소비 트렌드, 시즌별 수요, 선호 색상, 유통채널..
2025. 4. 13.